일요일/공휴일 휴진입니다.
허리 통증, '이러다 말겠지' 방치하면… "다리 통증·마비 위험↑" [인터뷰]
나이가 들면 여기저기 통증이 생기기 마련이다. 특히 중장년층이 되면 허리 통증을 자주 경험하는데, 이때 많은 이들이 노화 탓으로 여기며 넘기곤 한다. 그러나 통증이 허벅지나 종아리까지 뻗어 내려가고, 한참 걷다 보면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증상을 방치하면 마비나 대소변 장애로 이어지고, 수술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정형외과 전문의 박준성 원장(혜성정형외과)은 "척추관 협착증은 약물 치료, 주사 치료로 충분히 치료할 수 있지만, 방치될 시 수술까지 필요할 수 있고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말하며 빠른 진단과 치료를 강조한다. 박 원장과 함께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짚어본다.
q. 척추관 협착증은 어떤 질환이고, 원인은 무엇인가요?
척추관 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 질환입니다.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여러 원인에 의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원인은 다양합니다. 디스크가 튀어나와 척추관을 좁히거나, 후관절이 비대해지거나, 황색인대라는 인대가 두꺼워져 신경 통로를 압박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q.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인가요?
가장 흔한 증상은 하지 방사통입니다. 신경이 눌리는 위치에 따라 증상 부위가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엉덩이나 허벅지, 종아리 쪽으로 저린 느낌이나 통증이 나타납니다. 또 한 가지 특징적인 증상은 '파행'입니다. 오래 걸으면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통증이 심해져 쉬어야 하는 증상으로, 척추관 협착증의 대표적인 신호입니다. 아울러, 척추관 협착증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이다 보니 허리 통증 없이 다리 방사통만 호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q. 허리 통증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디스크와 헷갈릴 수도 있겠네요. 구분 방법이 있을까요?척추관 협착증과 추간판 탈출증(일반적으로 말하는 디스크)은 모두 신경을 자극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 양상이 유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퇴행성 변화로 인해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이 있어 보통 중장년층 이상에서 흔합니다. 반면 추간판 탈출증은 비교적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생하며, 외상 등 급성 요인과 관련된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로 두 질환 모두 신경을 자극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방사통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협착증은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증상이 완화되고, 디스크는 반대로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q. 병원에서는 어떻게 진단하나요?
병원에 오시면 먼저 문진과 신체 검진을 시행하고, 척추의 정렬 상태나 불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을 합니다. 이후 협착증이 의심되면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를 먼저 시도해 보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mri와 같은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립니다.
q. 수술을 걱정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수술은 언제 필요할까요?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해서 처음부터 수술을 시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환자분들에게 치료 과정을 '방 청소'에 비유해 설명해 드리곤 합니다. 방을 쓰지 않아도 먼지는 쌓이기 쉽고, 자주 쓰면 더 빨리 더러워지죠. 방이 이렇게 지저분해지면 청소해야 하는데요. 이때 청소는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에 해당합니다.
시간이 지나 찌든 때가 생기면 가벼운 청소로는 해결이 안 되죠. 이때는 시술적 치료에 해당하는 '대청소'가 필요합니다.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결국 벽지나 장판을 교체하듯, 마지막 단계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됩니다.
이처럼 척추관 협착증 환자분들이 병원에 처음 오시면 약물 치료, 주사 치료를 먼저 시행하다가 시술적 치료로 넘어가고요. 수술적 치료는 마지막으로 고려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단, 하지 방사통이 심하고 대소변 장애나 하지 마비가 동반된 경우라면 바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q. 수술을 하더라도 다시 재발할 수 있나요?
수술적 치료를 해도 시간이 지나면 퇴행이 진행되기 마련이고, 특히 고정하는 수술인 '유합술'을 시행하면 그 주변(위아래) 인접 분절 질환이 진행되어 퇴행이 더 빨리 진행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도 꾸준한 관리와 운동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도배·장판을 새로 했다고 청소를 안 하는 건 아니잖아요? 마찬가지로 수술 후에도 생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q. 그렇다면 주의해야 할 운동이나 생활 습관이 있을까요?
무거운 중량을 들거나 허리에 무리를 주는 고강도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허리를 반복적으로 굽혔다가 펴는 동작도 협착증 환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골프, 야구처럼 회전 동작이 많은 운동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운동들에 주의하면서, 평지 걷기와 같은 가벼운 유산소 운동 등 혈액 순환을 돕고 기립근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 됩니다.
q. 마지막으로 환자들에게 꼭 강조하고 싶은 점이 있다면요?
피부 관리는 겉으로 보이니까 신경을 많이 쓰지만, 허리는 그렇지 않다 보니 증상이 있어도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은 증상이라도 느껴졌을 때 조기에 병원을 찾아 진단받고, 꾸준히 운동하며 관리한다면 같은 나이대보다 더 건강한 허리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기획 = 김지연 건강 전문 아나운서